MBC 제3노조 성명···"상습 오보 기자들이 승승장구"
"오보 관련자 엄히 문책해야 시청자 신뢰 회복한다."

MBC 화면 캡처
MBC 화면 캡처

 

선거철마다 숱한 거짓 방송으로 민주당을 노골적으로 지원했다는 MBC가 언론 흑역사로 기록될 초대형 오보를 내고도 수수방관한다는 내부 비판이 나왔다.

MBC노조(제3노조)는 27일 <'스트레이트' 폐지하고 관련자 문책하라> 제목의 성명을 문재인 정권 이후 만연한 경영진의 무사안일과 도덕 불감증을 성토했다. 

제3노조는 미국과 일본 등 유수 언론사들의 오보 사례와 대응 실태를 제시하며 MBC의 후진성을 질타했다.

성명에 따르면 1992년 미국 NBC 뉴스는 GM 트럭 충돌 실험을 방송하면서 연료탱크에 점화장치를 달아 화염을 조작했다가 들통나 3분 30초 사과방송을 하고 담당 PD 해고와 사장 사임이 이어졌다.

같은 해 일본 NHK는 히말라야 다큐멘터리에서 '유사(流砂) 현상'을 일으켜 스태프가 고산병에 시달리는 것처럼 연기했다가 국장·부장이 줄줄이 해임되고 NHK 회장은 감봉 처분을 받았다.

2007년 일본 간사이TV는 낫토가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는 것처럼 실험 데이터를 조작한 사실이 드러나 사과방송에 이어 프로그램 폐지와 사장 사임이 뒤따랐다.

언론사가 스스로 오보를 밝혀내 재발방지책을 마련한 사례도 적잖다.

1980년 워싱턴포스트 기자가 8살 헤로인 중독자를 다룬 '지미의 세계'라는 기사를 써 퓰리처상을 받았다. 그런데 기사 내용에 의문을 품은 같은 회사 기자가 몇 달 동안 취재해 반박 기사를 게재했다. 언론의 윤리성을 스스로 지켜낸 것이다. 

MBC 화면 캡처
MBC 화면 캡처

 

대다수 국내외 방송사가 오보 발생 때 공개 사과는 물론, 제작진과 회사 대표까지 문책해 시청자 신뢰를 회복하려는 데 반해 MBC는 백년하청이다.

워싱턴포스트 같은 윤리 의식이 실종됐기 때문이다. 

오보 사실이 외부에서 드러나면 사후조치라도 해야 하는데 MBC는 오불관언이라는 점에서 언론사로서 수명이 다됐다고 제3노조가 개탄했다.

탈북작가 성폭행 오보에 대한 대법원판결이 선고된 지 약 2주일이 지났지만, 문책에 착수했다는 말이 아직 없는 게 그런 사례로 꼽혔다. 

제3노조는 "욕먹고 기다리면 어물쩍 넘어갈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 모르겠다. 아니면 관련자들이 모두 민노총 언론노조 소속이어서 건드리기 무서울 수도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오보를 방치하면 더 큰 오보를 부른다. '딸기 찹쌀떡' 오보로 청년 사업가를 파산시킨 기자가 훗날 채널A 검언유착 오보를 저지르지 않았던가"라고 힐문했다. 

또한 "김대업 병풍, 김경준 BBK 거짓말을 앞장서 보도했던 기자들이 승승장구하며 문재인 정부 때 MBC를 망치는 모습을 보지 않았는가"라고 추궁했다.

제3노조는 "안형준 사장은 거짓임을 알면서 방송한 '탐사기획 스트레이트'를 폐지하고 오보 관련자들을 엄히 문책하라. 그래야 MBC가 시청자 신뢰를 회복하고 존재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 X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