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 춘천·평택·동두천·아산 연장, 지방 메가시티는 1시간 생활권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경기 의정부시청 대강당에서 '출퇴근 30분 시대, 교통 격차 해소'를 주제로 열린 여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 참석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경기 의정부시청 대강당에서 '출퇴근 30분 시대, 교통 격차 해소'를 주제로 열린 여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 참석해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서울과 경기, 인천을 연결하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가 올해 연말부터 개통돼 2030년에는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가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대전과 대구, 부산, 광주 등을 중심으로 한 지방 대도시권에는 GTX와 같은 수준의 광역급행철도(x-TX)가 건설돼 1시간대 생활권이 형성된다. 

정부는 25일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재로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를 열어 '교통 분야 3대 혁신 전략'을 발표했다.

요지는 이동 속도와 주거환경, 공간 등 3개 분야에서 혁신을 이뤄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와 메가시티 1시간 생활권을 만든다는 것이다.

먼저 수도권 GTX 사업을 본격화해 출퇴근 시간을 기존보다 절반가량 줄이는 속도 혁신을 위해 GTX A노선의 수서∼동탄 구간을 예정대로 오는 3월에, 파주 운정∼서울역 구간은 연내에 개통하기로 했다. 

A노선이 오는 2028년에 완전히 개통되면 파주 운정에서 서울역까지 운행 시간이 기존 54∼70분에서 20분으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초에 착공하는 GTX B노선(인천대 입구∼마석)은 2030년에, C노선(덕정∼수원)은 2028년에 각각 개통할 예정이다. 

3개 노선이 구축되면 인천에서 서울역까지 80분대에서 30분으로, 덕정에서 삼성역까지는 75분에서 29분으로 각각 줄어 수도권 출퇴근 30분 시대가 현실화한다.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경기 의정부시청 대강당에서 '출퇴근 30분 시대, 교통 격차 해소'를 주제로 열린 여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 참석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경기 의정부시청 대강당에서 '출퇴근 30분 시대, 교통 격차 해소'를 주제로 열린 여섯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 참석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또한 노선 길이도 연장해 A노선은 동탄에서 평택까지, B노선은 경춘선을 활용해 마석에서 춘천까지, C노선은 덕정에서 동두천, 수원에서 아산까지 이어진다. 

아울러 GTX-D·E·F 노선을 제5차 국가철도망 계획에 반영해 1단계와 2 단계별 개통을 추진할 방침이다. 

1단계 노선은 윤석열 정부의 임기 내 예비타당성 조사 동시 통과를 목표로 2기 GTX 시대를 준비할 계획이다.

수도권과 지방 간 교통 격차를 줄이기 위해 충청·영남·호남 대도시권에 GTX와 같은 수준의 x-TX를 도입한다.

대전∼세종∼충북 권역에서는 광역급행철도 선도사업이 추진되고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광주·전남 등은 지자체와 협의해 급행철도가 가능한 노선을 서둘러 발굴하기로 했다.

지방 대도시 중심과 주변을 연결하는 철도 선도사업과 도로망 구축 등을 통해 '메가시티 1시간 생활권'을 달성하기 위한 조처다.

'주거환경 혁신'을 위해서는 교통이 불편한 수도권 주요 권역별 상황에 맞춰 광역버스 운행이 확대되고 버스 전용차로가 도입된다.

25일 오후 서울 용산구 서울역에서 공사중인 GTX-A 5공구 현장이 취재진에게 공개되고 있다.
25일 오후 서울 용산구 서울역에서 공사중인 GTX-A 5공구 현장이 취재진에게 공개되고 있다.

 

혼잡률이 210%에 달해 '지옥철'로 불리는 김포골드라인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은 최우선적으로 추진된다. 

해당 라인에 추가 차량 투입과 출근 시간대 광역버스 증편, 출발지·종점 다양화, 특정 시간대 올림픽대로 버스전용차로 단계적 도입 등이 조만간 추진된다.

2층 전기버스와 광역 DRT(수요응답형버스), 좌석 예약제 확대, 급행버스 도입 등을 통한 수도권 교통 불편 해소책도 제시될 예정이다.

수도권 4대 권역의 광역교통 사업의 속도를 올리기 위해 광역교통개선대책 사업비 약 11조 원이 투입되고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지자체 또는 관계기관 간 갈등으로 사업이 지연되는 문제를 조정·중재할 계획이다.

철도·도로를 지하화해 도시 공간을 재구조화하는 '공간 혁신을 올해부터 기본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도로 정체가 심각한 수도권 제1 순환도로(서창∼김포), 경부고속도로(용인∼서울), 경인고속도로(인천∼서울)는 2026년부터 지하화 공사가 단계적으로 시작된다.

도심항공교통(UAM) 상용화를 위해 올해 8월 아라뱃길 상공에서 첫 실증 비행을 한 뒤 내년에 한강과 탄천으로 그 범위를 확대한다.

자율주행 서비스는 심야 시간과 교통 취약지역에 도입한 뒤 전국으로 확대하고 2027년 완전자율주행 상용화에 대비해 차량 안전 기준과 보험제도 고도화도 추진할 계획이다.

재원은 국비 30조 원과 지방비 13조6천억 원, 민간 75조2천억 원, 신도시 조성원가 반영 9조2천억 원, 공공기관 5조6천억 원 등으로 구성된다.

저작권자 © 미디어 X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